알뜰 폰 요금제 장점과 단점 한 눈에 알아보기

알뜰 폰은 저렴한 통신요금이라는 큰 매력이 있지만 꼭 이것 때문에 알뜰 폰을 선택할 이유는 없습니다. 장점이 크지만 절반도 아닌 국민의 30%정도가 사용하는 이유도 있겠죠. 커다란 장점 뒤에 단점도 있습니다. 그 장점과 단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어차피 선택은 소비자 몫입니다.

알뜰 폰의 장점과 단점

관련 글 더 읽어보기

장점

저렴한 통신 요금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이제는 무선 이어폰도 한사람당 한 개씩 갖고 있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누구든 스마트폰을 보고(유튜브, 인스타, 페이스북 등) 있습니다.

인터넷(데이터)을 사용한다는 얘기인데요. 이 때문에 각 통신사들의 무제한 요금제가 비싸도 쓰게 되는 편입니다.

돈이 아깝기보다는 스마트폰으로 갖는 즐거움이 더 크니까요. 이런 무제한요금제는 6~7만원 이상의 요금제로 측정되어있는데, 이를 반값으로 줄여준다고 하면 안쓰는게 바보라는 소리 듣게 되는거죠.

그래서 3개 대표통신사(SKT, KT, LG)들은 알뜰 폰 사업자들에게 고객을 뺏기지 않기 위해 가족결합, 데이터 리필, 멤버십 서비스 등의 다양한 혜택을 내놓고 있죠. 그래도 알뜰 폰의 요금제가 더 싼곳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장기 이용자(30년 회원 가족결합할인)가 아닌 이상 알뜰 폰의 요금제로 옮기는게 더 이득입니다. 하나하나 부가서비스 등의 혜택을 잘 따져보고 저렴하지 않다면 굳이 옮기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

하지만 알뜰 폰 요금제들도 인터넷 등의 결합상품을 내놓고 있기에 시간이 지나면 더 많은 혜택을 챙겨볼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단점

알뜰 폰의 너무 커다란 장점에 단점을 보지 못하면 안됩니다. 단점도 분명 존재합니다.

3대 대표 통신사(SKT, KT, LG)에서 적용되는 기초생활수급자나 고령층의 복지 할인이 안되는 곳이 제법 있습니다. 그럼 가족결합도 안될테고요. 이런것도 고려해보는게 좋습니다.

지금은 자급제폰의 보급이 많이 좋아졌지만 5년 전까지만해도 많지 않았습니다. 우리가 알뜰 폰을 저렴한 통신요금 때문에 사용하는데, 왠만한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를 찾다보면 그렇게 저렴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돼죠.

5G 데이터 쉐어링 불가능합니다. 지금은 되는 곳이 몇군데 있긴하지만 네트워크망을 빌려주는 MNO에서 쉐어링 자체를 막아놨습니다. 이것까지 알뜰 폰이 가져간다면 메리트가 없어진다고 생각한 것이겠죠. 쉐어링 하고 싶다면 LTE로 개통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해외 로밍 요금이 알뜰 폰이 2배는 비쌉니다. 알뜰 폰 신청은 별도로 해야 되는 경우도 많고 여러 부가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생깁니다.(통신사 할인으로 영화보기 등)

결론적으로

선택은 소비자가 하는 것입니다. 위의 알뜰 폰 장점과 단점들을 잘 비교해보시고 괜찮다 싶으면 바꾸시는게 좋습니다. 우리가 가난하게 사는 것보다 부자로 사는게 더 마음이 편하니까요.